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에서 개기월식 관찰하는 방법과 추천 명소, 관찰 TIP

by 리터러시업 2025. 3. 30.
반응형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며 붉게 변하는 신비로운 천문 현상이다.
대한민국에서 개기월식을 제대로 관찰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 관찰 방법, 촬영 팁 등을 정리했다.


개기월식이란? 왜 달이 붉게 변할까?

개기월식(Total Lunar Eclipse)은 태양 - 지구 - 달이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발생하며,
지구의 본그림자(umbra)가 달을 완전히 가리면서 달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천문 현상이다.

이 현상은 **‘블러드 문(Blood Moon)’**이라고도 불리며,
그 이유는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중 푸른빛은 산란되고, 붉은빛만 달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개기월식을 잘 관찰하는 방법

🔹 1. 개기월식 날짜를 미리 확인하기

개기월식은 1년에 1~3회 정도 발생하지만, 모든 개기월식을 대한민국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NASA, 한국천문연구원(KASI),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월식 예보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다가오는 대한민국에서 관찰 가능한 개기월식 일정 (2025~2028년)


🔹 2. 빛 공해가 적은 최적의 장소 선택하기

개기월식을 제대로 관찰하려면 주변 빛 공해가 적고, 시야가 탁 트인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에서 개기월식 관찰에 좋은 추천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서울 및 수도권

  • 남산 공원 (서울)
  • 북한산 둘레길 (서울)
  • 광교산 (수원)

📌 강원도 & 경기권

  • 오대산 천문대 (강원도)
  • 대관령 전망대 (강원도)
  • 화천 조경철 천문대 (강원도)

📌 충청 & 전라권

  • 계룡산 국립공원 (충남)
  • 무등산 전망대 (광주)
  • 변산반도 해변 (전북)

📌 경상 & 제주권

  • 가야산 국립공원 (경북)
  • 부산 황령산 전망대 (부산)
  • 한라산 정상 (제주도)


🔹 3. 개기월식 관찰을 위한 필수 준비물

🔭 개기월식은 맨눈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지만, 보다 선명한 관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망원경 or 쌍안경 – 달의 표면까지 세밀하게 관찰 가능
DSLR or 스마트폰 삼각대 – 흔들림 없는 멋진 촬영 가능
손전등 (적색 필터 사용) – 눈부심 없이 어둠 속에서 이동할 때 사용
따뜻한 옷 & 간식 – 월식 관측은 1~3시간 이상 지속되므로 방한 필수

 


개기월식 촬영 TIP – 스마트폰 & DSLR 설정

📸 개기월식은 카메라로 담기 좋은 천문 현상 중 하나이다.
스마트폰과 DSLR로 촬영할 때 설정해야 할 팁을 알아보자.

🔹 1. 스마트폰 촬영 설정

  • 📷 수동 모드(Pro Mode) 사용
  • 📍 ISO: 100~400 (빛의 양에 따라 조절)
  • 🔽 셔터 속도: 1/10초 ~ 2초 (고정 삼각대 필요)
  • 🎯 초점: 무한대(∞)로 설정

🔹 2. DSLR 촬영 설정

  • 🌕 렌즈: 200mm 이상 망원렌즈 추천
  • 🔽 조리개 값(F): F5.6~F8
  • 🎯 초점: 매뉴얼(MF)로 설정 후 달에 맞춤
  • 📸 삼각대 & 리모컨 사용하여 흔들림 방지

 


결론: 대한민국에서 개기월식을 완벽하게 관찰하는 법

🌕 대한민국에서 개기월식을 제대로 즐기려면?
월식 일정 체크: NASA,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예보 확인
빛 공해 적은 장소 찾기: 국립공원, 전망대, 천문대 추천
필수 장비 준비: 망원경, 스마트폰 삼각대, 방한용품
촬영 설정 익히기: 스마트폰 & DSLR 카메라 조절

 

다음 개기월식은 2025년 9월 8일!
📌 미리 준비해서 대한민국에서 멋진 블러드 문을 직접 관찰해보자

 

반응형